중등 2학년 중2 역사 3단원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단원정리, 단원평가 예상문제 및 해설 자료



오늘 준비한 자료는 중등 2학년 역사 3단원 단원평가 대비 단원정리 자료랍니다.

3단원은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입니다.


먼저 중2 역사 3단원에 대한 단원 핵심 정리 내용부터 살펴볼게요.

해당 자료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습자료에서 발췌했습니다.







신라의 삼국 통일

01 고구려가 수와 당의 침략을 물리치다

(1) 수의 침략과 살수 대첩

① 동아시아 정세(6세기 후반) : 수ㆍ당이 고구려 압박(돌궐-고구려-백제-왜의 남북 연합 결성) → 고립된 신라가 중국과 연결 노력(동서 연합)



② 수의 침공 : 수 문제와 양제의 고구려 침공 → 수 양제의 공격을 살수에서 크게 격퇴(612, 살수 대첩)

③ 수 멸망 : 무리한 토목 공사와 고구려 원정 실패로 국력 소모 → 백성들의 불만과 각지의 반란으로 멸망



(2) 연개소문의 집권

① 고구려와 당의 관계 : 당 초기(우호 관계) → 당 태종 즉위 후 팽창 정책 실시(고구려 압박)

② 고구려의 대응 : 고구려 천리장성을 축조하여 당에 대비 → 지배층의 내분 → 연개소문 정변으로 정권 장악 → 연개소문 당에 강경책 추진


(3) 당의 침략과 안시성 싸움

① 안시성 싸움 : 당 태종이 연개소문 정변을 구실로 고구려 침입 → 당군이 요동성, 백암성 등 함락, 평양성으로 진격 → 안시성에서 격퇴

② 고구려의 쇠퇴 : 수ㆍ당의 침략 격퇴로 독자적 국가 지위 유지 → 계속된 중국의 침략으로 국력 약화




02 나·당 연합군이 백제와 고구려를 무너뜨리다

(1) 나·당 연합의 결성

① 신라의 위기 : 백제 의자왕의 신라 공격으로 대야성 등 상실

② 김춘추가 고구려에 원조 요청 : 고구려의 무리한 요구(죽령 이북 요구)로 협상 실패

③ 나·당 연합 : 당의 대동강 이북 지역 지배 조건, 신라가 수용 → 나·당 연합 결성


(2) 백제의 멸망 : 의자왕 집권 후반 지배층의 분열, 국력 쇠퇴 → 나·당 연합군의 협공 → 계백의 황산벌(논산) 전투 패배, 사비성 함락 → 백제 멸망(660)


(3) 고구려의 멸망 : 연개소문 사망 후 지배층 분열 → 나·당 연합군의 공격 → 평양성 함락, 고구려 멸망(668)


(4) 백제와 고구려의 부흥 운동

① 백제 부흥 운동 : 복신, 흑치상지 등의 활약, 왜 수군 지원 → 지도층 분열, 백강 전투 패배 등으로 실패

② 고구려 부흥 운동 : 검모잠, 고연무 등이 안승을 왕으로 받들고 전개 → 신라의 지원 → 지도층 분열로 실패




03 신라가 삼국 통일을 완수하다

(1) 나·당 전쟁

①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 : 웅진도독부(백제), 안동도호부(고구려), 계림도독부(경주) 설치

② 나·당 전쟁 : 신라가 백제 옛 지역 장악, 고구려 부흥 운동 세력 지원 → 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 승리

③ 결과 : 당이 안동도호부를 요동으로 옮기고 한반도에서 물러남 → 삼국 통일 달성


(2) 신라의 삼국 통일

① 의의 : 삼국의 백성을 하나로 아우르고 민족 문화를 발전시키는 계기 마련

② 한계 : 고구려 옛 땅을 잃고 대동강 이남의 영토를 차지



통일 신라의 발전과 문화

01 왕권이 강해지고 통치 제도가 정비되다

(1) 강력한 왕권의 확립

① 왕실 교체 : 진골 출신의 태종 무열왕 즉위 → 통일 전쟁 과정에서 문무왕의 왕권 강화 노력 → 신문왕의 강력한 왕권 확립(김흠돌의 반란 제압, 통치 제도 정비 등)

② 6두품의 성장 : 학식을 갖춘 6두품 세력이 행정 실무 담당, 국왕 보좌 → 왕권 뒷받침

③ 신문왕의 개혁 정치


 국학 설립

 ㆍ국립 교육 기관 마련, 유학 보급

 녹읍 폐지

 ㆍ관리들에게 관료전 차등 지급, 녹읍 폐지로 귀족 세력 약화

 9서당 정비

 ㆍ옛 고구려인, 백제인, 말갈인까지 포함


(2) 통치 체제의 정비

① 중앙 정치 : 집사부 중심 운영(장관인 시중 권한 강화) → 화백 회의 기능 축소, 상대등 권한 약화

② 지방 통치 조직 : 전국을 9주로 정비(그 밑에 군현 설치) 및 지방관 파견, 수도 이외 주요 지역 5소경 설치

③ 군사 제도 : 중앙군 - 9서당, 지방군 - 10정




02 당·일본과 적극 교류하다

(1) 당과의 교류

① 내용 : 사절단, 유학생, 승려 등이 당에 건너가 문물 수용, 상인들의 무역 활동

② 해상 활동 : 장보고의 해상 교역 장악(청해진 설치), 신라인의 당 정착(산둥 반도와 양쯔 강 하류에 신라방 등)



(2) 일본과의 교류 : 금속 제품, 직물 등 일본에 수출, 당과 일본 사이에서 중계 무역 실시, 국제 무역항 성장(울산항, 당항성)


(3) 서역과의 교류 : 공예품, 보석, 향료 등 교역, 신라를 ‘황금의 나라’로 서역에 소개



03 불교가 융성하고 유학이 발달하다

(1) 불교의 융성

① 불교 사상의 성숙 : 의상(화엄 사상, 부석사 건립 등), 원효(불교 사상 종합, 불교 대중화) 등의 활약

② 승려들의 대외 활동 : 원측(당에서 불교 사상 발전), 혜초(“왕오천축국전” 저술)


(2) 불교 예술의 발달

① 석탑 : 3층 석탑 축조(감은사지 3층 석탑, 불국사 3층 석탑), 탑의 다양한 형태 변화 등장(다보탑, 진전사지 3층 석탑)

② 불국사, 석굴암 : 통일 신라 최고의 건축 기술과 예술성 상징

③ 금속 주조 기술 : 상원사 동종, 성덕 대왕 신종, 각종 금동 사리 장치 등


(3) 유학의 증진

① 목적 : 정치 이념으로 삼아 국가 통치에 활용, 왕권 강화

② 내용 : 국학 설치(신문왕), 독서삼품과 실시(원성왕)

③ 유학자 : 설총(이두 정리), 강수(외교 문서), 최치원(빈공과 합격, 유학 발전에 공헌), 김대문(“화랑세기” 저술)



발해의 발전과 문화

01 대조영이 발해를 건국하다

(1) 발해의 건국 :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ㆍ말갈인을 이끌고 동모산 일대에 도읍, 발해 건국(698) → 남쪽의 신라와 북쪽의 발해라는 남북국의 형세


(2) 고구려 계승 의식 : 지배층 대부분 고구려 유민, 외교 문서에 고(구)려를 표방, “발해고” 등 역사서에 고구려 계승국으로 인정



02 만주와 연해주를 아우르며 해동성국을 이루다

(1) 중요발해의 성장

① 무왕 : 북만주 일대 차지, 산둥 지방 공격, 돌궐·일본과 친선

② 문왕 : 당과 우호 관계 형성, 수도 천도(상경 용천부), 통치 체제 정비

③ 선왕 : 대부분의 말갈족 복속, 요동 지역 진출, 대동강 유역에서부터 헤이룽 강과 연해주까지 영토 확장 → 이후 전성기의 발해를 당이 ‘해동성국’이라 칭함



(2) 발해의 쇠퇴와 멸망

① 쇠퇴 : 9세기 말 귀족의 권력 다툼으로 국력 쇠퇴

② 멸망 : 당의 멸망을 틈타 세력을 키운 거란의 공격으로 멸망(926) → 유민들의 부흥 운동 전개, 실패 → 많은 유민이 고려에 흡수


(3) 발해의 중앙 정치 제도

① 중앙 정치 제도 : 3성 6부(당의 제도 모방)

② 독자적인 운영 : 정당성 중심, 유교식 명칭의 6부, 정당성 아래 좌사정과 우사정의 이원적 체제



03 문화가 발전하고 교류가 활발해지다

(1) 발해의 문화

① 특징 : 고구려 문화 계승, 당의 문화 수용 → 국제적, 독자적 성격

② 무덤 : 고구려 양식의 굴식 돌방무덤(정혜 공주 무덤), 당과 고구려 양식 혼합(정효 공주 무덤)

③ 유교 중시 : 유교 교육 기관인 주자감 설치, 정혜 ㆍ정효 공주 무덤의 묘지석

④ 불교 : 지배층 중심으로 융성, 문왕 스스로 불교적 성왕 칭함


(2) 발해의 대외 교류

① 발해 5도 : 넓은 영토의 효율적 관리 목적, 주변 국가와 활발하게 문물 교류

② 당과의 교류 : 문왕 때 우호 관계 형성 이후 활발히 교역 → 승려, 유학생의 당 진출

③ 일본과의 교류 : 당, 신라 견제 위해 친선 관계 → 사신 교류, 상인 교역 활발

④ 신라와의 교류 : 건국 초기 대립 관계 → 사신 교환, 교통로 설치 등 관계 개선



신라 말의 동요와 후삼국의 성립

01 진골 귀족의 권력 다툼으로 사회가 혼란해지다

(1) 정치·사회의 동요

① 왕위 쟁탈전 : 8세기 후반 혜공왕 사후 왕위를 둘러싼 다툼이 치열하게 전개

② 중요정치적 혼란 : 진골 귀족의 권력 다툼 심화, 6두품 세력의 정치적 위상 하락, 지방 세력의 왕위 쟁탈전 개입·중앙 정부에 반기(김헌창의 반란)


(2) 지방민의 봉기

① 배경 : 진골 귀족과 사원의 대토지 소유 증대, 왕실과 귀족의 사치와 향락 풍조 → 국가 재정 파탄, 농민 수탈 강화 → 흉년, 자연재해로 농민 생활 피폐(9세기 말 진성 여왕 때 최고조)

② 농민의 처지 : 노비로 전락, 초적으로 변모, 농민 봉기(원종과 애노의 봉기)



02 지방에서 호족 세력이 성장하다

(1) 지방 호족의 등장 : 중앙 정부의 통치력 약화 상황에서 성장한 독자적 지방 세력 → 성주, 장군을 칭함, 선종 승려ㆍ6두품 지식인과 결탁, 반신라적 성격



(2) 6두품의 개혁 노력 : 골품제의 모순 비판, 새로운 정치 이념 제시(최치원 등 도당 유학생) → 권력 다툼에 빠진 진골 귀족에 의해 개혁 노력 좌절 → 호족과 결탁


(3) 중요새로운 사상의 유행

① 선종 : 교종과 달리 실천 수행으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고 강조 → 호족과 백성의 호응②풍수지리설 : 도선의 수용, 경주 중심의 지리적 개념 탈피, 지방의 중요성 상기, 호족의 호응 → 새로운 사회 건설의 사상적 기반



03 신라가 분열되어 후삼국이 성립되다

(1) 후백제의 건국 : 견훤이 서남 해안의 군사력 기반으로 성장 → 완산주에 도읍하여 건국 → 충청도, 전라도 차지, 신라 압박


(2) 후고구려의 건국 : 궁예가 강원도 ㆍ 경기도 일대 장악, 송악에 도읍하여 건국 → 철원으로 천도 후 마진, 태봉으로 국호 변경, 새로운 관등제 마련










단원 정리 잘 하셨나요?

중2 역사 3단원에 대한 요점정리가 아주 잘 되어 있죠?


이번 3단원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단원에서는 고구려의 수·당 전쟁 배경과 과정을 파악하고, 역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삼국 통일의 과정을 지금 현재 동아시아 국제 정세 속에서 이해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파악한다면 아주 좋겠죠?
그리고 통일 이후 신라의 대내외적 발전 양상과 그 의미를 이해하며, 신라의 문화를 불교 예술을 중심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신라 하대 사회의 동요와 후삼국의 성립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제 단원정리가 어느 정도 되었으면 단원평가 문제를 풀어보게 될텐데요

이 단원평가 문제들을 통하여 학생들은 고구려의 대외 항쟁부터 삼국 통일의 과정을 거쳐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후삼국의 성립까지 배우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과정을 파악하고 삼국 통일이 가지는 의의를 접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또한 통일 이후의 신라의 대내외적인 발전과 함께 신라의 북쪽에서 발해가 발전하고 있었음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신라의 약화가 다음 사회로의 이행을 준비하는 세력을 형성하는 상황을 지켜볼 수 있을 거에요^^



아래 단원평가 예상문제는 위의 단원정리 내용을 공부하신 후에 스스로 풀어보고 정답지와 해설지로 답을 확인해보면 되는데요. 답지는 별도 경로에 올려드릴게요. 왼쪽 하단의 이쁜 냥이를 클릭하면 해설 및 답지가 있는 경로로 이동된답니다. 

다만 해당 경로에는 비밀번호가 걸려 있으니 댓글로 메일 주소 남겨주시면 비밀번호를 답메일로 보내드릴게요.

위의 핵심 단원정리 내용을 열심히 공부한 친구들이라면 이번 단원평가 문제도 어렵지는 않을거에요. 

그럼 아래 올려드리는 자료로 열심히 공부해봐요^^


참 자료는 모두 PDF라서 반드시 PDF READER가 필요하답니다.


중등 2학년 중2 역사 3단원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단원평가 예상문제
















추천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