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영어학원 2016년 한가람고등학교 2학년 2학기 기말 영어 시험 분석 내용



목동영어학원에서 분석한 2016년 한가람고등학교 2학년 2학기 기말 영어 시험 내용입니다.


작년 한가람고등학교 2학년 영어 시험분석 내용을 목동영어학원 길벗아카데미에서 공개해주셔서 가지고 왔답니다. 

재원생들을 위한 자료지만 특별히 공개해주셔서 이렇게 포스팅해드립니다. 


자~ 그럼 한가람고등학교 2학년 영어 시험 난이도와 출제 유형, 그리고 어떤 문제들이 출제되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소개해 드립니다. 





한가람고등학교 2학년 2학기 기말고사 영어 시험은 학교교과서인 실용독작 금성, 모의고사 기출문제로 이뤄진 학교자체교재, 그리고 외부지문에서 출제가 되었습니다. 


먼저 문제 유형별 출제 문항수 및 배점입니다.


다음은 출제영역별 내용입니다. 

어법과 독해 비중이 높은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가람고등학교 2학년 영어시험의 전반적인 난이도는 중상입니다. 

교과서보다는 자체교재에서 주로 나왔으며 자체교재는 모의고사 기출문제로 수능에 대비하고자 하는 의도가 엿보이는 시험이었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독해문제가 평이하여 난이도가 그리 높지 않은 반면 어법 문제의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대체로 문장의 정확한 이해를 담보해 주는 기본 분석능력의 배양이 관건이 되는 시험이었다고 평하고 싶습니다. 

그럼 시험볼 때 학생들이 힘들었을 것 같은 문항과 배점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객관식 12번 문제 


다음 밑줄 친 which의 품사가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3.8점)
① The Michigan hub constructed a special airside pet relief area, which airport employees called "Central Bark." 
② That would end a conflict in which airport police tracked Uber drivers for operating without permission and warned them away with certified letters and a red-and-white sign. 
③ An aircraft spokesman confirmed the planes made 'light contact' in the incident which airport management said happened about 10.30am. 
④ It's recommended that you get to the airport at least 90 minutes before your flight regardless of which airport you're flying out of. 
⑤ After parts of the departure hall in Brussels were reopened in May, additional checks at the entrance led to huge queues, which airport authorities said posed a new security risk. 


정답 : ④

해설

1번은 called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2번 역시 and in the conflict의 의미를 나타내는 관계대명사이며, 3번은 airport management said를 삽입절로 보면서 happened 앞에 주어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 which가 주격 관계대명사임을 알 수 있습니다. 4번은 ‘어떤’ 공항을 이용하든지 간에 적어도 비행시간 90분 전에는 공항에 도착해야 한다는 말이므로 이 경우 ‘어떤’의 의미를 갖는 which는 관계대명사가 아닌 의문대명사입니다. 5번 역시 airport authorities said를 삽입절로 보고 posed의 주어 자리가 비어있음을 보면서 which를 주격 관계대명사로 분석해야 합니다.



 객관식 17번 문제 


(A), (B), (C) 각 빈칸에 들어갈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5점)

“It does seems very strange that Trump is ignoring the state department while apparently    (A)    Bob Dole, a lobbyist for Taiwan, to make arrangements for him in    (B)    appears to be a change in US policy dealing with Taiwan," Fred Wertheimer, the founder and president of watchdog group Democracy 21, told Politico. 

"Dole's interests here certainly involved Taiwan's interests more than it    (C)    American interests, and the fact that he was the intermediary raises a serious issue about just how President-elect Trump is going to make U.S. Foreign policy."


      (A)               (B)            (C)

①  allows           that           did

②  allows           that           was

③  allowing         that           did

④  allowing         what          was

⑤  allowing         what          did


정답 : ⑤

해설

A번은 while 다음에 he is가 생략된 소위 while -ing 형태이며, B번은 ‘대타이완 미국정책의 변화로 보이는 것’이라는 의미가 필요하므로 전치사 in의 목적어가 될 수 있는 관계대명사 what절이 들어가야 합니다. C번은 ‘도울의 관심이 미국의 국익을 포함하는 것보다는 타이완의 국익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었음이 틀림없다’는 의미가 되어야 하는데 동사 involved가 두 번 나올 때 비교문에서 목적어를 취하는 대동사 did를 쓸 수 있으므로 was가 아닌 did를 골라야 합니다. 이 문제는 외부지문이라서 어법 판단을 하는 데 상당히 애를 먹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객관식 29번 문제 


다음 중 밑줄 친 (가)에 해당하는 예로 가장 적절한 것은? (3.1점)

Often, a word is used with more than one meaning. Indeed, a brief look at a dictionary will show you that the majority of words are used with more than one meaning. If such words were said to be ambiguous, then the vast majority of words would be ambiguous. However, linguists and philosophers usually call a word "ambiguous" only when there is some uncertainty about which meaning is being used in the particular instance. A word isn't ambiguous by itself but is used in an ambiguous way: it is ambiguous when one cannot tell from the context what sense is being used. For example, let us take two statements: (1) He may come. (2) He may not come. In fact there is no basic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sentences. Because, 'he may come' means 'he may not come' also. Similarly, 'he may not come' means 'he may come' as well simultaneously. However, (가) in most cases one can tell from the context what sense is being used. For example, if you say "I'm going to the bank to deposit some money," I don't expect you to go to the river bank. The word "bank" has these two senses (and more), but it is not thereby ambiguous: the two senses are so unrelated that no one is likely to confuse them.


① "밤이 깊었으니 돌아가라.“ (chestnut / night)

② "네가 한 번 물어봐.“ (to ask / to bite)

③ "더 이상 따를 수가 없어.“ (to follow / to pour)

④ "가지가 많이 나서 좋다.“ (eggplant / tree branch)

⑤ "말이 말 같지가 않아.“ (words / horse)


정답 : ①

해설

이 지문은 단어 의미의 중의성이 대부분의 경우에는 문맥으로 인해 해소된다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I'm going to the bank." 하게 되면 애매할 수 있지만 ”I'm going to the bank to deposit some money."라고 하면 절대로 애매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후자처럼 문맥의 도움으로 중의성이 해소되는 예를 고른다면 1번이 가장 적절합니다. 1번을 보고 ‘밤’이 먹는 ‘밤’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른 선택지 의미들은 모두 중의적입니다. 예를 들어 3번은 누군가의 지시를 ‘따를’ 수가 없는 상태일 수도 있고, 그릇에 물이 꽉 차서 ‘더 이상 따를 수가 없는’ 상태일 수도 있으며, 5번은 사람 ‘말’에 대한 것일 수도 있고, 승마선수가 타는 ‘말’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학생들이 실수를 많이 했을 것 같은 문제와 배점입니다. 



 객관식 14번 문제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을 고르시오. (3.7점)

The Mediterranean island nation has launched a number of progressive social reforms since ①its Labour government was elected in 2013, and has twice ②named as the European country that best respects the rights of lesbian, gay, bisexual, trans and intersex people by the advocacy group ILGA-Europe.

The new law also decrees that "no sexual orientation, gender identity or gender expression constitutes a disorder, disease or shortcoming of any sort," and ③lowers the age to 16 at which people can request a change in gender without their parents' approval.

Supporters of gay conversion therapy argue it uses common psychological or counselling techniques ④to help people voluntarily change their sexual orientation, but the practice is ⑤widely condemned. 

*decree: (법령, 판결 등에 따라) 명하다


정답 : ②

해설

이 글은 지중해의 몰타라는 나라에 대한 내용으로 2013년 노동당 집권 이래로 두 차례나 성소수자의 인권을 존중하는 최고의 나라로 명명된 바 있다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name이란 동사는 타동사로서 능동으로 쓸 경우 반드시 목적어가 나와야 하는데 목적어가 없고, 의미상 ‘몰타가 인권 존중국으로 명명되었다’는 수동의 의미가 적절하므로 named는 been named로 고쳐야 현재완료형 수동태가 되어 주변 문맥과의 연결이 매끄러워집니다. 1번은 나라를 its로 받을 수 있으므로 하자가 없고, 3번은 The new law를 주어로 하고 있고 현재시제로 병렬되어야 하니까 lowers가 맞으며, 4번은 ,부정사의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으로 to help에 문제가 없습니다. 5번 역시 과거분사 condemned를 ‘널리’라는 의미의 부사 widely가 수식하는 것이 맞으므로 정답은 2번을 골라야 합니다.



 객관식 28번 문제 


다음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가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3.2점)

The main reason you're drawn to novel or surprising things is that it could upset the safe, predictable status quo and even threaten your survival. If you've ever tried to carry on a conversation in a room in which a TV is playing, you know that it's hard not to glance at the screen occasionally. Even if you don't want to watch, your brain is attracted by ①that constantly shifting stream of images, because change can have life or death consequences. Indeed, if our early African ancestors hadn't been good at fixing all their attention on ②the just ripened fruit or the approaching predators, we wouldn't be here. For the same reason, a strong sensitivity to ③the odd detail that doesn't quite correspond with the way things usually are or ought to be is a major asset for ④a soldier in a war zone. Even in every situation, you can't afford to miss ⑤that jaywalker darting in front of your car or the single new and important fact in a long, boring list. 


정답 : ④

해설

이 문제는 한가람고에서 즐겨 출제하는 독해 문제인데 전체 지문의 내용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실수하지 않고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전체 지문의 내용은 아프리카에서 발생했다고 믿는 초기 인류 때부터 우리 인간은 특이하고 신기한 자극에 예민하게 진화했기 때문에 ‘딱 먹기 좋게 익은 과일’이나 전장에서 평소와는 다른 ‘특이한 세부사항’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군인에게 중요한 자산인데 이 때 이 ‘특이한 세부사항’이나 ‘내 차 앞으로 지나가는 무단횡단자’ 같은 자극은 절대 놓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제 답이 될 수 있는 것은 1번 아니면 4번인데 1번 역시 ‘끊임없이 바뀌는 이미지들의 흐름’을 우리는 무시할 수 있도록 진화하지 않았다는 것이 글이 말하고자 하는 바이고, ‘전쟁지대의 군인’은 이런 자극의 예가 되지 않으므로 정답은 4번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한가람고등학교 영어 시험의 내신준비 방향에 대해서 목동영어학원 길벗아카데미에서 제시하는 대비 방법입니다.


일단 교과서와 학교자체교재에서 대부분의 문제가 출제되므로 학교 내신범위에 속한 지문들의 본문암기가 기본적으로 필요하고, 어법에 대한 출제 문제들의 난이도가 비교적 높으므로 평소 기본 어법에 대한 학습이 철저히 이루어져서 문장의 정확한 분석을 통해 의미를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고 외부지문 출제에 대비해서 수능 기출문제와 모의고사 기출문제는 물론 CNN news 등 시사 저널리즘 지문들도 틈나는 대로 읽어두며 어법적인 부분을 체크해 둔다면 신학기 내신대비 성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상 목동영어학원 길벗아카데미의 한가람고등학교 2학년 영어 시험에 대한 분석 내용이었습니다.


출제영역별 분석 및 난이도와 출제경향, 그리고 주요문제들에 대한 분석, 또한 향후 내신준비 방향까지 여러모로 유용한 자료가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서두에 말씀드렸듯이 목동 한가람고등학교에 배정 예정이거나 관심이 있는 친구들 또는 학부모님들에게는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 같아요^^



그럼 다음에도 좋은 내용 있으면 가지고 와서 소개해드릴게요^^



추천정보


목동 고등 영어학원 2016년 강서고등학교 1학년 2학기 기말 영어 시험 분석 내용



목동 고등 영어학원 2016년 강서고등학교 1학년 2학기 기말 영어 시험 분석 내용입니다.


2017년이 시작되었는데요. 공부하는 우리 학생들은 이 방학동안을 잘 활용해야겠지요.

목동 고등 영어학원에서 분석한 시험 자료를 통해 지난번 시험을 반성하고 앞으로 올라가는 학년에 대한 대비도 해야겠어요^^


자~ 그럼 강서고등학교 1학년 영어 시험 난이도와 출제 유형, 그리고 어떤 문제들이 나오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소개해 드립니다. 


목동 고등 영어학원 길벗아카데미에서 재원생만을 위한 분석자료지만 특별히 공개해주신 자료랍니다. 


강서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꼼꼼히 분석해준 이 자료가 많은 도움이 될거라 생각되는데요.

아래 내용이 공개해주신 분석 자료입니다. 





강서고등학교 1학년 영어 기말고사 시험은 학교교과서인 영어1 능률(찬), 모의고사 프린트, 기타 영역에서 출제가 되었습니다.


먼저 문제 유형별 출제 문항수 및 배점입니다.


다음은 출제영역별 내용입니다.


이번 2016년 강서고등학교 1학년 2학기 기말고사 영어 시험의 난이도는 중상입니다. 

심경추론, 제목추론, 내용 일치/불일치, 지칭추론, 연결어 추론, 흐름에 맞춘 문장삽입, 순서배열, 빈칸추론 등 32문항(약65%)이 수능형 독해문제였으며 특히 빈칸넣기는 10문제나 출제되었습니다. 모의고사나 수능시험에서 난이도 높은 문제에 대비시키려는 의도가 엿보이는 시험이었습니다. 8문항의 어법문제 중 배점이 높은 서술형 작문 문제들이 포진하고 있어서 비교적 어법 비중이 높은 시험이었으며, 시험 범위내 지문에 대한 단순독해만으로는 고득점을 할 수 없었고, 어법상 문제가 되는 문장이나 표현들을 정확하게 짚어내는 공부를 하지 않았다면 점수를 받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시험볼 때 학생들이 힘들었을 것 같은 문항과 배점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객관식 22번 문제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4점)

In the late 1800s, the railroads were the biggest companies in the U.S. Having achieved such a huge success, even changing the landscape of America, remembering WHY they started doing this business stopped being important to them. Instead, they became obsessed with WHAT they did ― they were in the railroad business. This narrowing of perspective influenced their decision-making ― they invested all their money in tracks and engines. But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s century, a new technology was introduced: the airplane. And all those big railroad companies eventually went out of business. What if they had defined themselves as                                       ? Perhaps they would have seen opportunities that they otherwise missed: they would own all the airlines today.


① being in the lead of their businesses

② being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ir career

③ being the only source for the prosperity of U.S.A.

④ being in the mass transportation business

⑤ being the gatekeeper of the traditional value and business


정답 : ④

해설 : 이 글은 미국 철도사업자들이 초기의 성공으로 안목이 좁아져 멀리 내다보지 못하고 오직 철도사업에만 매진하는 우를 범했다는 내용입니다. 만약 안목을 넓혀 ‘대량 운송 사업’에 초점을 맞추었더라면 오늘날 모든 항공회사를 소유하는 기회를 잡았을 것이라는 내용이 결론부가 되고 있으므로 빈칸에 들어갈 말은 4번이 됩니다. 1번이나 5번은 이와 같은 결론을 이끌어낼 수 없으므로 오답입니다.



객관식 35번 문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1.7)

One day after the space shuttle Challenger exploded, Ulric Neisser asked a class of 106 students to write down exactly where they were when they heard the news. Two and a half years later, he asked them the same question. In that second interview, 25 percent of the students gave completely different accounts of where they were. Half had significant errors in their answers and less than 10 percent remembered with any real accuracy. Results such as these are part of the reason people make mistakes on the witness stand when they are asked months later to describe a crime they witnessed. Between 1989 and 2007, 201 prisoners in the United States were proven innocent on the basis of DNA evidence. Seventy-five percent of those prisoners had been declared guilty on the basis of mistaken eyewitness accounts.


① Ulric Neisser는 2년 반의 기간 차이를 두고 피실험자들의 기억에 대해 조사했다.

② 사람들의 목격 진술은 시간의 지남에 따라 그 신뢰도가 떨어진다.

③ 우주왕복선(Space Shuttle) Challenger호는 발사 직후 폭발했다. 

④ 1989~2007년 사이에 150명 정도의 죄수들이 잘못된 목격자 진술에 의해 투옥되었다.

⑤ 1989~2007년 사이에 DNA기반 조사를 통해 201명의 죄수가 무죄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정답 : ③

해설 : 1번과 2번은 글의 내용에 비추어 맞는 진술입니다. 4번 역시 무죄로 판명된 201명 중 75%가 목격자 진술로 유죄 평결을 받은 것이므로 맞고, 5번 역시 명시적으로 소개된 내용입니다. 3번 진술은 적어도 이 글에서는 언급한 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역사적 사실을 따진다 해도, Challenger호는 발사 직후 폭발한 것이 아니라 73초 동안 날아가다가 폭발했습니다. 그럴싸하게 보이지만 글의 내용에 없는 진술이라면 일치하는 진술이 될 수 없습니다. 



서술형 4번 문제 (6점)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을 모두 골라 올바르게 고치시오. (올바른 것을 고쳤을 경우 감점 처리함)

Edith Wharton was born into a wealthy family in 1862 in New York City. ① Educated by private tutors at home, she enjoyed reading and writing early on. After her first novel, The Valley of Decision, ② published in 1902, she wrote many novels and some gained her a wide audience. Wharton also had a great love of architecture, and she designed and ③ built her first real home. During World War I, she devoted much of her time to ④ assist orphans from France and Belgium and helped raise funds to support them. After the war, she settled in Provence, France, and she finished writing The Age of Innocence there. This novel won Wharton the 1971 Pulitzer Prize, making her the first woman ⑤ won the award.


정답 : ② was published ④ assisting ⑤ to win

해설 : 1번은 주어를 꾸며주는 과거분사구로 이디쓰 훠튼이 ‘교육 받은’ 것이므로 올바른 형태입니다. 3번 역시 ‘그녀의 첫 번째 실제 집을 설계하여 건축했다’는 말이므로 designed and built라는 과거시제 동사구 병렬이 하자가 없습니다. 2번은 After라는 접속사 다음에 her first novel이라는 주어와 연결되어야 하는 술어동사 자리에는 능동인 published가 아니라 수동인 was published가 되어야 하고, 4번은 devote A to B에서 to는 전치사임에 착안하여 동사원형인 assist를 동명사인 assisting으로 고쳐야 올바른 형태가 됩니다. 5번은 '그녀로 하여금 그 상을 받은 최초의 여성이 되게 해 주었다‘라는 내용이 되어야 하는데 the first + 명사 뒤에는 흔히 부정사구가 수식을 해주므로 won이라는 과거시제는 to win이라는 부정사 형태로 바뀌어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학생들이 실수를 많이 했을 것 같은 문제와 배점입니다. 


객관식 30번 문제 (1.4점)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Have you ever heard anyone say, "I had to carry the ball."? The expression "to carry the ball" means to take responsibility for getting something done. We use clichés like this every day in our speech. These expressions are colorful and often appealing in their economy and ability to convey an image or description of an emotion or situation. Someone may be "cold as ice" or "brave as a lion." A story may be "too funny for words." These expressions in speech do little harm. In writing, however, clichés suffer the fate of the familiar becoming boring. Your reader has heard and read these expressions so often that they tend to "bounce off" the reader so swiftly that they lose their appeal. Therefore, if you want your writing to be stronger and more effective, try not to use clichés. Clichés in writing ultimately diminish the strength and effectiveness of your message.


① Messenger of Boredom in Writing: Cliché

② Dual Effects of Cliché within Different Contexts

③ Economic Ability of Clichés

④ Effective Ways to Make Your Writing Strong

⑤ Raise Your Writing's Appeal Through Proper Clichés


정답 : ①

해설 : 우선 이 글은 두괄식이나 양괄식이 아니라 미괄식이라는 것을 파악해야 합니다. 글의 주요한 내용이 후반부에 나와 있고 특히 결론부에 나와 있습니다. 즉, 이 지문의 주제는 ‘강력하게 어필하는 글을 쓰려면 상투적 표현을 사용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그런 표현이 전달하려는 메시지의 강도를 약화시키기’ 때문인데요. 이런 식으로 글의 주제를 확실하게 잡았다면 제목을 고르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1번은 의역하면 ‘글에 지루함을 가져오는 상투적 표현’ 정도인데 제목으로 적절하며, 2번은 ‘서로 다른 문맥에서의 상투적 표현의 이중 효과’인데 글의 후반부 내용에 비추어볼 때 이것으로는 제목을 삼기 곤란합니다. 3번의 ‘상투적 표현의 경제성’이나 4번의 ‘글을 강화시켜 주는 효과적인 방법들’ 역시 글의 주제와 거리가 멀고, 5번의 ‘적절한 상투적 표현을 통해 글의 매력을 증진시킬 것’ 역시 이 글의 주장과는 정반대의 주장이므로 소거해야 할 선택지입니다.



서술형 2번 문제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을 모두 골라 올바르게 고치시오. (6점) (올바른 것을 고쳤을 경우 감점 처리함)

“Can you quiz me on some ⓐ word, Dad?"

"Sure, Olivia. Let's start with a hard one. 'Serendipitous."

I make a face. "Well, that's too easy for me. S-E-R-E-N-D-I[P-I-T-O-U-S."

"Yes, you got it! How about 'narcissism.'?"

"Easy. N-A-R-C-I-C-I-S-M."

"I am afraid that's wrong."

I ⓑ put down my fork. "What do you mean it's wrong? N-A-R-C-I-C-I-S-M. That's how it's ⓒ spell." 

"Sorry, dear. That's not the answer. You can ⓓ look up it in the dictionary if you want." 

I hurry to my room and get out my dictionary. 

"K ... L ... M ... N!" I search the page and find it: narcissism. I close the book and walk back to the kitchen. 

"You were right." I say sadly ⓔ sliding back into my chair. 

"Oh, cheer up. Now you'll know how to spell it if you ⓕ get it at the bee today."


정답 : ⓐ words ⓒ spelled ⓓ look it up

해설 : 이 글은 Spelling Bee 즉 단어 철자 대회에 나가는 딸이 아버지에게 짧은 테스트를 받는 내용입니다. a번은 글의 흐름에 비추어 보면 '어떤 단어‘가 아니라 ’몇몇 단어들‘에 대한 테스트이므로 복수형으로 고쳐야 합니다. ’내려 놓았다‘는 b번의 put down은 하자가 없으며, c번은 수동태가 되어야 의미도 통하고 어법도 올바르므로 spell은 spelled로 바뀌어야 합니다. d번도 look up에서 up은 위를 본다는 의미의 전치사가 아니므로 뒤에 목적어 it를 가질 수 없고 대명사 목적어일 경우 반드시 분리가 일어나야 하므로 look it up으로 고쳐야 합니다. e번의 sliding back into my chair는 분사구문으로서 올바른 표현이고, f번 역시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현재시제가 맞는 형태이므로 하자가 없습니다. 감점 받을 것이 두려워 두 개 정도만 고친 학생들이 많았을 문제입니다.



마지막으로 강서고등학교 2학년 영어 시험의 1학기 중간고사 내신준비 방향에 대해서 목동 고등 영어학원의 대비 방법을 설명드립니다.


모의고사 기출문제 등을 통해 수능형 독해 문제들을 푸는 요령을 잘 정리해 나가야 합니다. 특히 어법 문제와 더불어 빈칸추론 문제와 제목 문제 등에서 잦은 실수가 유발되므로 반드시 등급을 올려야 할 학생들은 난이도 높은 어법 문제들과 빈칸추론 및 제목추론 문제들을 자주, 많이 풀어보아야 하겠습니다. 또한, 어법적으로 문제가 될 만한 문장들을 선별하여 영작해 보는 것이 배점이 높은 서술형 문제에서 최대한의 점수를 받아내는 전략이 될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








이상 목동 고등 영어학원 길벗아카데미의 강서고등학교 1학년 영어 시험에 대한 분석 내용이었습니다.

출제영역별 분석 및 난이도와 출제경향, 그리고 주요문제들에 대한 분석, 또한 향후 2학년이 되었을 때 중간고사 대비방법까지 유용한 자료가 아니었나 생각되네요.


서두에 말씀드렸듯이 목동 강서고등학교에 배정 예정이거나 관심이 있는 친구들 또는 학부모님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분석 자료라 할 수 있겠네요.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다음에도 좋은 내용으로 글 남겨드릴게요^^

추천정보